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농업생산기반정비 SOC 예산 조기 집행, 지역경제 활성화와 안전영농 기대

by 리치 해찌 2025. 2. 14.

농업 SOC 예산 1.4조 조기 집행. 농업기반정비 예산 75% 상반기 조기 투입

2025년 농업생산기반정비 SOC 예산 조기 집행, 지역경제 활성화와 안전영농 기대

상반기 1조 4541억 원 조기 투입! 가뭄 해소, 배수개선, 노후 수리시설 보강 등 농촌 인프라 강화 총력

1. 농업생산기반정비 SOC 예산 조기 집행, 왜 중요한가?

2025년,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업생산기반정비 SOC(사회간접자본) 예산 1조 4541억 원을 상반기에 조기 집행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는 연간 예산 1조 9428억 원의 75%에 해당하는 규모로, 지난해 상반기 집행률 67%보다 8%P 상승한 수준입니다.

이번 조기 집행은 최근 기후변화로 인한 가뭄, 홍수 등 자연재해 증가농업 인프라 노후화에 따른 문제 해결을 위한 것으로, 지역경제 활성화와 안전한 농업 생산기반 구축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2. 2025년 상반기 조기 집행되는 주요 사업별 예산

농식품부는 다음과 같은 주요 사업에 예산을 집중 투입해 농업생산 기반시설 확충 및 재해 예방에 나섭니다.

📌 농촌용수개발: 2357억 원

  • 상습 가뭄지역 농업용수 안정 공급
  • ✅ 56개 지구(준공 5, 계속 46, 신규 5)에 투자

📌 배수개선사업: 4852억 원

  • 저지대 농경지 침수 예방
  • ✅ 285개 지구(준공 37, 계속 188, 신규 60)에 투입

📌 수리시설개보수: 7617억 원

  • 노후 수리시설 보수 및 보강
  • ✅ 645개 지구(준공 170, 계속 295, 신규 180)에 집행

📌 수리시설 유지관리: 1566억 원

✅ 전국 농업기반시설 정상 운영 및 유지 관리

3. 논 배수시설 설계기준 강화로 영농 안정성 제고

올해부터는 논에 콩, 시설하우스 등 타작물 집단재배지역(47지구, 4614ha)배수시설 설계기준 상향 적용(30년~50년 빈도)해 재해 예방 효과를 높입니다.

✅ 기대 효과

  • 🔹 시설하우스 침수 피해 예방
  • 🔹 작물 생산성 향상
  • 🔹 농업 기반시설 내구성 강화

4. 지역경제 활성화 및 건설경기 회복 기여

농업생산기반정비 SOC 예산 조기 집행은 지역 건설업체와 자재 공급업체 등 연관 산업 활성화에 기여합니다.

✅ 예상 경제효과

  • 🔹 지역 건설경기 부양
  • 🔹 고용 창출 및 농촌 소득 증대
  • 🔹 자재 및 장비 수요 증가

5. 농업인 기대 효과 – 안전영농 및 재해 예방

농업생산기반정비 사업은 결국 농업인의 안전한 영농 환경 조성재해 피해 최소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 농업인 체감 혜택

  • 🔹 가뭄 시 농업용수 안정적 공급
  • 🔹 폭우 시 침수 피해 예방
  • 🔹 노후 시설 정비로 안전한 농업 환경 조성

결론

2025년 농업생산기반정비 SOC 예산 1조 4541억 원이 상반기 조기 집행됩니다. 농촌 인프라 개선뿐 아니라 지역경제 활성화와 농업인 영농안정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보입니다.

기후변화에 따른 자연재해가 잦아지는 상황에서, 이번 조기 집행이 농촌과 농업인의 든든한 안전망이 되기를 기대합니다.

농업인과 관련 종사자라면 각 지자체 및 한국농어촌공사를 통해 세부 사업 진행 상황을 수시로 확인해 혜택을 놓치지 않도록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