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검진 항목 확대, 희귀질환 의료비 지원 강화, 건강보험료 정산제도 개편까지! 올해 달라지는 건강보험제도를 확인하세요.
1. 건강보험료 정산제도 개편
2025년부터 건강보험료 정산 대상 소득과 신청 기준이 확대됩니다.
- 📌 변경 전: 사업소득 및 근로소득만 정산 가능
- 📌 변경 후: 이자, 배당, 연금, 기타소득도 정산 가능
- 📌 소득 증가·감소 모두 조정 가능 (기존에는 감소한 경우만 가능)
소득 조정·정산 신청은 우편, 팩스, 건강보험공단 방문을 통해 가능하며, 휴폐업·퇴직·종합소득 감소 시에는 온라인 신청도 가능합니다.
2. 희귀질환 의료비 지원 확대
희귀질환을 앓고 있는 환자의 의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원 대상과 소득 기준이 확대됩니다.
📌 주요 변경 사항
- 📍 지원 대상 희귀질환 확대: 기존 1272개 → 1338개
- 📍 추가된 질환: 이상각화증, 손발바닥 농포증 등 66개
- 📍 소득 기준: 중위소득 120% → 140% 미만까지 확대
- 📍 본인부담금 면제: 소득·재산 기준 충족 시 가능
신청 방법: 최근 3개월 내 발급된 진단서 등 구비서류를 준비해 지역 보건소 또는 '희귀질환 헬프라인' 누리집에서 신청 가능
3. 건강검진 항목 확대
2025년부터 생애 주기별 건강검진 항목이 확대됩니다.
📊 주요 변경 사항
- 🩺 우울증 검사: 기존 10년 1회 → 청년층(20~34세) 2년 1회
- 🧠 조기 정신증 검사 추가 (청년층 대상)
- 🦠 C형 간염 항체검사: 만 56세 대상자 포함
- 🦴 골밀도 검사: 54세, 60세, 66세 여성으로 확대
국가건강검진은 신분증만 있으면 전국 어디서나 받을 수 있습니다. 검진기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누리집 또는 'The건강보험' 앱에서 확인하세요.
4. 건강보험제도 변화가 미치는 영향
2025년 건강보험제도의 변화는 국민들의 건강 관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기대됩니다.
🔹 기대 효과
- ✅ 소득 변동에 따른 보험료 조정 가능 → 경제적 부담 완화
- ✅ 희귀질환 환자의 의료비 부담 감소 → 의료 접근성 강화
- ✅ 조기 검진 기회 확대 → 질병 예방 및 건강 증진
5. 건강보험 혜택, 어떻게 활용할까?
건강보험의 혜택을 최대한 활용하려면 다음 사항을 기억하세요.
📌 실천 방법
- 📍 건강검진 대상 확인: '국민건강보험공단' 누리집에서 조회
- 📍 소득 조정 신청: 필요 시 건강보험공단에 신청
- 📍 희귀질환 의료비 지원 신청: 보건소 또는 온라인 접수
📢 더 자세한 내용은 국민건강보험공단 공식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