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를 맞아 2025년 문화정책이 새롭게 바뀝니다. 민생경제 회복부터 글로벌 K-컬처 확산까지 다양한 변화와 혁신을 통해 더 나은 미래를 만들어갑니다.
1. 민생경제 회복을 위한 문화소비 확대
정부는 서민 경제를 활성화하고 문화 소비를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했습니다.
- 소상공인 및 영세기업 지원: 스포츠 융자 대상 확대, 예술인 생활안정자금 제공.
- 취약계층 문화복지 확대: 통합문화이용권 14만 원, 스포츠강좌이용권 10.5만 원으로 인상. 맞춤형 여행 프로그램 제공.
- 문화소비 조기 회복 지원: 숙박쿠폰 100만 장 배포, 근로자 휴가지원 15만 명, 운동 인센티브 확대.
2. 지역균형 발전을 위한 문화정책
지역 곳곳에서 문화 생태계를 조성하고 문화시설을 확충해 균형 발전을 이루고자 합니다.
2.1 지역 예술 생태계 조성
- 국립청년예술단 신설(전통 연희, 연극 등).
- 공연·미술·문학 작품의 전국 유통 확대.
2.2 권역별 문화시설 거점 조성
- 공립 박물관·미술관 설립 지원.
- 유휴공간의 문화공간 재탄생.
이 외에도 '대한민국 문화도시'와 'K-관광 휴양벨트'를 통해 지역 대표 콘텐츠를 창출합니다.
3. 문화산업의 성장과 수출 지원
K-콘텐츠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수출을 촉진하기 위해 다양한 계획을 수립했습니다.
- K-콘텐츠 혁신: 게임, 웹툰, 애니메이션 등 핵심 장르 육성.
- 관광 수출 기반 마련: K-뷰티·패션 등 관광 콘텐츠화, 내국인 도시민박 허용.
- 스포츠 글로벌 경쟁력 강화: 수출 중심 전략펀드 신설, 은퇴선수 직업 안정 지원.
4. 문화로 여는 포용 사회
저출생·고령화 시대를 대비한 포용적 문화 정책도 추진됩니다.
- 어린이 예술마을, 시니어 친화형 체육센터 확대.
- 청년 예술활동 적립계좌 신설(3000명 대상).
- 열린관광지와 반다비체육센터를 통해 모두를 위한 문화시설 제공.
5. 글로벌 K-컬처 확산
K-콘텐츠와 전통문화를 전 세계에 알리기 위한 노력이 지속됩니다.
- K-아트 활성화: '대한민국은 공연 중' 프로젝트, 문학주간 개최.
- 한국어·태권도 확산: 생성형 AI 기반 한국어 선생님 도입, 태권도 시범단 공연 콘텐츠화.
- 국제 교류 확대: G20 문화장관회의, 문화 ODA 등을 통한 협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