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부모와 한부모 가정을 위한 육아·양육 지원 제도

by 리치 해찌 2025. 1. 14.

육아휴직 급여 인상. K 패스 혜택

2025년 부모와 한부모 가정을 위한 육아·양육 지원 제도

2025년부터 부모와 한부모 가정을 위한 육아 및 양육 지원 제도가 강화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육아휴직 급여 인상, 한부모 지원 확대, 늘봄학교 서비스 확장, K-패스 혜택 등 주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육아휴직 급여 인상 및 기간 확대

1.1 육아휴직 급여 인상

  • 일반 부모: 월 최대 150만 원 → 250만 원.
  • 부모 모두 육아휴직 사용 시: 첫 달 200만 원 → 250만 원.
  • 한부모 근로자: 첫 3개월 250만 원 → 300만 원.
  • 사후지급 방식 폐지: 휴직 중 100% 지급.

1.2 육아휴직 기간 확대

  • 육아휴직 기간 최대 1년 → 1년 6개월.
  • 부모 모두 3개월 이상 사용 시 혜택 적용.
  • 한부모 또는 중증 장애아동 부모도 대상 포함.

2. 한부모 가정을 위한 지원 확대

2.1 아동양육비 지원 확대

  • 자녀 1인당: 월 21만 원 → 23만 원.
  • 청소년 한부모: 월 35만 원 → 37만 원.
  • 학용품비 지원: 초·중·고등학생까지 확대.

2.2 양육비 선지급제 도입

  • 양육비를 받지 못하는 한부모 가정에 대해 국가가 양육비를 우선 지급.
  • 중위소득 150% 이하 가구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지원(만 18세까지).

3. 늘봄학교 대상 및 서비스 확대

늘봄학교는 정규수업 외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교육자원을 연계해 학생의 성장과 발달을 돕는 종합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3.1 서비스 확대

  • 대상: 2024년 초등학교 1학년 → 2025년 초등학교 1~2학년.
  • 추진 배경: 교육격차 해소와 사교육비 경감을 통한 자녀 양육 부담 완화.

4. K-패스 혜택: 다자녀 가구 환급률 상향

4.1 K-패스란?

K-패스는 대중교통 이용 시 월 15회 이상 정기적으로 이용할 경우, 하루 최대 2회, 월 최대 60회까지 지출 금액의 일정 비율을 환급받는 교통카드입니다.

4.2 다자녀 가구 환급률

  • 2자녀 가구: 적립률 30% (2000원 이용 시 환급금 600원).
  • 3자녀 이상 가구: 적립률 50% (2000원 이용 시 환급금 1000원).

다자녀 가구는 K-패스 앱 또는 누리집에서 "MY 메뉴 → 다자녀 정보"에서 인증 후 혜택 신청이 가능합니다.

맺음말

2025년 강화된 육아 및 양육 지원 제도는 부모와 한부모 가정 모두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합니다. 자녀 양육 부담을 덜고, 안정적인 가정을 이루기 위해 이 제도를 적극 활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