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상반기 민생경제 활력 회복 대책 총정리

by 리치 해찌 2025. 1. 18.

2025 민생경제 대책. 소상공인 지원. 내수 활성화

2025년 상반기 민생경제 활력 회복 대책 총정리

정부는 2025년 상반기 민생경제 회복을 위해 금융, 환율, 투자 등 주요 분야에서 총력 대응하고 있습니다. 소상공인 지원책과 내수 촉진 대책을 자세히 알아보세요.

1. 당면한 3대 경영 충격 완화

1.1 금융 충격 완화

  • 소상공인 금융 3종 세트 지원: 전환보증 3.2조 원 공급, 상환 연장 요건 완화, 대환대출 거치기간 선택권 부여.
  • ‘소망 충전 프로젝트’: 성실 상환자에게 추가 대출 기회를 제공.
  • 소상공인 채무조정센터: 30개소 설치, 파산·회생 절차를 12개월에서 단축.

1.2 환율 충격 완화

  • 피해 기업 대상 1.5조 원 정책자금 지원.
  • 수출바우처를 활용해 무역보험 및 보증 가입비 최대 1천만 원 지원.
  • 납품대금 환율변동 반영 기준 약정 및 컨설팅 제공.

1.3 투자 회복

  • 모태펀드 1조 원 신속 시행 → 신규 벤처펀드 1.9조 원 조성.
  • 글로벌 펀드 1조 원 조성(누적 13조 원).
  • 벤처투자 규제 완화: 투자의무 대상 확대 및 규제 완화.

2. 내수 촉진을 위한 대책

2.1 소비 활성화

  • 동행축제 상반기 2회 개최(연 4회).
  • 설명절 전후 디지털 온누리상품권 15% 특별 할인 및 15% 환급.

2.2 면세점 입점 기업 확대

  • 중소기업 면세점 3개 → 6개소로 확대.
  • 입점 기업 900개사 → 1800개사로 증가.
  • 영세 소상공인 및 초기 창업기업 수수료 23% → 10%대로 인하.

2.3 공영홈쇼핑 소상공인 제품 방송 확대

  • 소상공인 제품 방송 편성 비율을 30% 이상 확대.
  • 매출 목표 9천억 원 설정.

3. 영업 안전망 강화

3.1 새출발 희망 프로젝트

  • 폐업 정리 지원: 점포 철거비 250만 원 → 400만 원으로 인상.
  • 취업 지원: 희망리턴패키지와 국민취업지원제도 연계 → 최대 945만 원 지원.
  • 재창업 지원: 전담 PM 매칭 및 최대 2천만 원 사업화 자금 지원.

3.2 온라인 플랫폼 상생 환경 조성

  • 온라인 플랫폼 이용사업자 실태조사 발표.
  • 동반성장 평가를 배달 플랫폼까지 확대.

3.3 영세 소상공인 고정비 부담 완화

  • 카드 수수료율 인하 추진.
  • 배달·택배 소상공인 최대 30만 원 지원.

맺음말

2025년 상반기 민생경제 회복 대책은 소상공인과 기업들이 당면한 위기를 극복하고, 내수 시장을 활성화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정부의 지원책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경제적 부담을 줄이고, 활력을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자세한 내용은 각 지원 사업의 관련 부처에 문의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