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대한민국의 교육 현장이 큰 변화를 맞이합니다. AI 디지털교과서 도입부터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대학생 주거안정 지원까지 알아야 할 주요 내용을 정리했습니다.
1. AI 디지털교과서 도입
초등학교 3~4학년을 대상으로 영어, 수학, 정보, 특수교육 국어 과목에서 AI 디지털교과서가 새롭게 도입됩니다. 이를 통해 학생 개개인에게 맞춘 학습이 가능해지며, 교사의 디지털 수업 역량도 강화됩니다.
- 교사 연수 지원: 선도교사 1.15만 명, 일반교사 6.6만 명 대상 연수.
- 학교컨설팅: 전국 3000개 학교를 대상으로 맞춤형 컨설팅 제공.
2. 늘봄학교 확대
기존 초등학교 1학년에게 제공되던 늘봄학교가 2025년부터 초등학교 2학년까지 확대됩니다. 안정적인 운영 체계를 통해 학부모와 학생 모두에게 질 높은 돌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3. 고교학점제 전면 시행 및 내신 등급제 변경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맞춘 학업 설계를 지원하기 위해 2025년부터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됩니다. 또한, 고교 내신 등급제가 기존 9등급제에서 5등급제로 변경됩니다.
- 학점제 도입: 학생 중심의 진로 설계와 책임교육 강화.
- 내신 등급제 변경: 과잉 경쟁 완화 및 학습 환경 개선.
4. 직업계고 및 특성화고 지원 강화
직업계고와 특성화고 학생들의 취업과 인재 양성을 위한 정책도 강화됩니다.
- 협약형 특성화고 추가: 10개 학교 → 20개 학교로 확대.
- 직업계고 취업 지원 거점학교: 17개 학교 → 24개 학교로 확대.
5. 대학생 지원 확대
대학생들의 학자금 부담과 주거 안정성을 위해 다음과 같은 지원이 새롭게 마련됩니다.
- 국가장학금 확대: 2024년 8구간 이하 약 100만 명 → 2025년 9구간 이하 약 150만 명.
- 근로장학금 확대: 수혜 대상 14만 명 → 20만 명.
- 주거안정장학금 신설: 저소득층 대학생에게 연 최대 240만 원 지원.
6. 지역혁신 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가동
전국 17개 시도를 중심으로 지역과 대학이 협력하여 인재 양성, 취업 지원, 정주 생태계를 조성하는 RISE 체계가 새롭게 시작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