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기술이 우리 생활 속 공공서비스를 어떻게 혁신하고 있는지 살펴봅니다.
1. AI 기반 고독사 예방 시스템
고령화와 1인 가구 증가로 인해 고독사 문제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전력공사는 AI 기반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고독사 예방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전력, 수도, 통신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소와 다른 이상 징후가 감지되면 즉각 지자체 사회복지 공무원에게 경고를 보냅니다. 이를 통해 실시간으로 위험 상황을 인지하고 신속한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사회복지 공무원이 매주 1~2회 직접 전화를 걸어야 했지만, AI 시스템을 통해 보다 효과적이고 빠른 대응이 가능해졌습니다.
2. 농촌의 노동력 부족, AI 로봇이 해결
고령화로 인해 농촌의 노동력 부족이 심각한 문제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농촌진흥청은 AI 자율주행 농기계와 로봇을 개발하고 보급하고 있습니다.
- 자율주행 트랙터: 농업인이 작업 경로를 설정하면 AI가 최적의 동선을 계산하여 스스로 작업을 수행합니다.
- 과수원 수확 로봇: 과일의 익은 정도를 AI가 분석하여 자동으로 수확합니다.
- 제초·운반·방제 로봇: 과수원 내를 스스로 이동하며 작업을 수행합니다.
정부는 2027년까지 실증 과정을 거쳐 다양한 작물에도 적용할 계획이며, 이를 통해 생산성 향상과 안전사고 예방 효과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3. 민원·공공서비스, 구비서류 없이 처리
기존의 공공서비스는 다양한 구비서류 제출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AI와 빅데이터를 활용한 '구비서류 제로화' 정책이 도입되고 있습니다.
이 시스템은 기관 간 데이터를 공유하여 국민이 서류를 제출하지 않아도 공무원이 직접 확인하고 처리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 서류 발급 비용 절감
- 공공서비스 이용 절차 간소화
- 국민 편의성 증대
행정안전부는 2026년까지 총 1498종의 공공서비스를 구비서류 없이 신청할 수 있도록 개선할 예정입니다.
4. 스토커 접근 감지 시스템
스토킹 범죄 피해자를 보호하기 위해 법무부는 '스토커 접근정보 피해자 알림 시스템'을 도입했습니다.
이 시스템은 가해자가 피해자에게 2km 이내로 접근하면 실시간으로 문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피해자가 즉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또한, 필요 시 보호관찰관과 경찰이 출동하여 추가적인 보호 조치를 제공합니다.
해당 시스템 도입 이후 10개월간 피해 사례는 단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으며, 피해자 보호에 큰 효과를 보이고 있습니다.
5. 실종아동 실시간 추적 서비스
서울 관악구는 어린이 실종 방지 및 신속한 대처를 위해 '실종아동 실시간 추적 관제 서비스'를 도입했습니다.
이 서비스는 아이들의 가방에 비콘(Beacon) 장치를 부착하고, 일정 거리 이상 떨어지면 교사의 스마트폰에 경고가 울리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또한, 관악구 스마트 관제센터와 6500여 대의 CCTV가 연동되어 있어, 실종 신고 시 실시간으로 아동의 위치를 추적할 수 있습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한 실험에서 평균 10분 내에 아동을 발견하는 성과를 보였습니다.